반응형
전기트럭의 TCO(총소유비용)은 구매가–보조금 후 실부담, 취득세 감면, 통행료/주차 감면, 충전단가, 보험/정비까지 합산해 월 기준으로 비교해야 정확합니다. 아래 요소별 공식·요약표·체크리스트만 따라도 손익분기 주행거리가 선명해집니다.
바로가기
왜 TCO인가 — 보조금만 보지 말 것
전기트럭의 초기 구매가–보조금만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, 취득세/통행료/주차 감면과 충전단가, 보험/정비, 타이어 등 운영비에서 차이가 크게 납니다. 그래서 월 기준 TCO로 비교해야 사업 현금흐름에 맞는 선택이 가능해집니다.
TCO 구성 7요소 — 공식과 계산값
- 구매 실부담 = 차량가격 − (국비 + 지방비 + 추가지원)
- 감가/잔존가치 = (실부담 − 잔존가치) ÷ 보유개월
- 세제 혜택 = 취득세 감면 + 통행료/주차 감면(월)
- 에너지비 = (월 주행거리 ÷ 전비[km/kWh]) × 전기요금[원/kWh]
- 정비/보험 = 월 정비비 + 월 보험료(영업/자차 포함)
- 타이어/소모품 = (타이어세트가/수명개월) + 소모품 평균
- TCO 월합계 = 감가 + 에너지비 + 정비/보험 + 타이어 − 세제혜택
※ 수치 입력은 모델·지역·요금제에 따라 달라집니다(충전요금/통행료/주차 감면은 지역별 공고·운영기관 정책 확인).
세제·단가·유지비 요약표
항목 | 체크포인트 | 비고 |
---|---|---|
취득세 | 감면/면제 대상, 상한, 필수증빙 | 지자체별 상이 |
통행료/주차 | 할인율·시간대·시설 제한 | 운영기관 정책 |
충전단가 | 완속/급속 요금, 심야/경부하 | 요금제 선택 필수 |
보험/정비 | 자차/영업특약, 부품/공임 | 차령·주행거리 영향 |
타이어/소모품 | 하중·마모, 교환주기 | 하중급 관리 |
시나리오 — 경형/소형 월 주행거리별 손익
- 경형: 월 1,500~2,000km 기준, 급속 위주면 요금이 상승 — 완속/심야 섞어 평균단가 낮추기
- 소형: 월 2,000~3,000km 이상이면 내연 대비 에너지비 절감 폭이 커짐 — 운행패턴 최적화 중요
- 공통: 감가/잔존가치 가정치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짐 — 보수/공격 시나리오 2안 병행
실수 방지 체크리스트(12)
- 지자체 공고 최신본으로 세제/감면 범위 확인
- 전비(km/kWh)는 실주행 기준치 사용
- 급속/완속 비율과 요금제 실제 단가 반영
- 통행료/주차 감면 적용 시간/시설 검증
- 보험 영업특약·자가용 구분 정확히
- 정비는 보증범위/소모품 구분
- 타이어 하중등급·교환주기 반영
- 감가는 잔존가치 보수/공격 2안 비교
- 운행거리는 주 단위 기록·증빙 보관
- 충전시간에 따른 운휴비용 고려
- 부가세/손익 회계처리 루틴 점검
- 보조금 환수 리스크(의무운행/용도유지) 체크
실전 링크 & 내부 가이드
자세히 알아보기 (링크) — 허브(지자체 비교표) 자세히 알아보기 (링크) — 소상공인 30% 자세히 알아보기 (링크) — 택배 10% Q&A 자세히 알아보기 (링크) — 잔여물량·신청 가이드
FAQ 3문
Q1. 급속 위주 운행인데도 내연 대비 이득이 날까요?
급속 비중이 높으면 단가가 올라갑니다. 완속/심야 비율을 최소 30~50%로 끌어올리면 손익분기점이 유리해집니다.
Q2. 세제 혜택은 모든 지자체가 동일한가요?
아닙니다. 감면율·상한·대상이 지역별로 다릅니다. 반드시 해당 지자체 공고로 최신 기준을 확인하세요.
Q3. 보험료가 예상보다 높게 나옵니다. 어떻게 줄일 수 있죠?
용도·차령·담보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. 영업특약 설계 재검토, 자가분담 조정, 차량안전장치 할인 등을 검토하세요.
결론 — 월 기준 TCO로 ‘손익분기 주행거리’를 잡아라
전기트럭의 의사결정은 월 기준 TCO가 핵심입니다. 충전요금제와 완속/급속 믹스, 세제/감면, 정비·보험까지 수치화하면 손익분기점이 분명해집니다. 아래 허브/스포크를 참고해 금액·신청·증빙까지 한 번에 정리하세요.
※ 본 글은 일반 가이드입니다. 정확한 감면율·요금제·보험/정비는 해당 지자체 공고·요금고시·보험사 약관을 최종 기준으로 확인하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