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마운자로 급여 전환 — HIRA 150일 · NHIS 60일(+60) · 복지부 고시 30일 (법정 절차 요약)

by LSE_File 2025. 8. 19.
반응형

 

국내 출시 직후 마운자로(티르제파타이드)는 통상 비급여로 시작합니다. 급여 전환은 HIRA 평가(최대 150일)NHIS 약가협상(최대 60일, 필요 시 60일 연장)복지부 고시(통상 30일) 순으로 진행됩니다.

각 단계의 심의 일정·보완 요구에 따라 총 기간은 달라지며, 아래 표/시나리오로 빠름·보통·지연 케이스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[정책 변동 가능·개별 품목별 차이 — 최신 공지 확인]

급여 전환 프로세스 — 3단계 개요

  1. HIRA(건강보험심사평가원) 급여 타당성 평가 — 임상적 유용성, 비용효과성, 재정영향 평가 등. 최대 150일
  2. NHIS(건강보험공단) 약가 협상 — 상한금액·위험분담 등 조건 조율. 최대 60일(+필요 시 60일 연장)
  3. 보건복지부 고시 — 약가/급여기준 고시 및 시행일 지정. 통상 30일 내외

※ 실제 소요기간은 자료 보완·재심의·협상 난이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일부 품목은 위험분담제·조건부 급여 등 특례 적용 가능 [확인 필요].

법정 기한·중요 체크포인트

단계 주관 법정/관행 기한 체크포인트
급여 타당성 평가 HIRA 최대 150일 [사안별 변동] 자료 보완 요구 여부, 분과·위원회 일정
약가 협상 NHIS 최대 60일 (+60일 연장 가능) 상한금액·위험분담 조건, 재정영향
고시 보건복지부 통상 30일 내외 시행일·세부 급여기준 공지

※ 위 기한은 절차 상한·관행 안내로, 실제 품목별 일정은 다를 수 있습니다. 공식 공지/보도자료를 수시 확인하세요.

시나리오 — 빠름·보통·지연(이론적 합산)

  • 빠름(가정): HIRA 120일 + NHIS 45일 + 고시 20일 ≒ 185일 (약 6.1개월)
  • 보통(가정): HIRA 150일 + NHIS 60일 + 고시 30일 ≒ 240일 (약 7.9개월)
  • 지연(가정): HIRA 150일 + NHIS 120일(연장) + 고시 30일 ≒ 300일 (약 9.9개월)

T0=급여 신청/평가 개시 기준 합산 예시입니다. 실무에선 보완 요청·위원회 일정 등으로 앞뒤 변동이 생깁니다.

모니터링·체크리스트

  1. 공식 채널 구독 — HIRA 공지·NHIS 공지·복지부 고시
  2. 병원 약사위원회(DC) — 급여 전환 후 적용일 맞춰 처방/재고 정책 업데이트 확인
  3. 본인 기준BMI·동반질환 등 급여 기준 충족 여부 사전 확인 [품목별 급여기준 상이]
  4. 비급여→급여 전환 — 시행일 이후 처방부터 적용되는지, 소급 불가 여부 확인
  5. 가격 — 상한금액·본인부담률·초과비용 발생 여부

결론 — “절차 이해 → 시행일 확인 → 처방/비용 즉시 반영”

급여 전환은 HIRA 평가 → NHIS 협상 → 복지부 고시의 3단계를 거칩니다. 시행일이 확정되면 병원/약국의 처방·재고·본인부담률이 바뀌므로, 관심 있는 분은 위 파란 카드에서 허브·비교표·부작용·증량 정보를 함께 확인하고 자신의 조건에 맞춰 진료 예약/예산 계획을 업데이트하세요.

※ 본 글은 일반 정보입니다. 법정 절차·기한·급여기준은 품목·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, 항상 공식 공지와 의료기관 안내를 확인하세요.

반응형